아사히 "방위상, 필리핀·美 이어 印에 '원시어터' 설명"…한반도+동·남중국해 전장 통합
"주변국 자극 피하려 용어 언급은 자제…日내부서도 '지역 모호' 등 지적"
"주변국 자극 피하려 용어 언급은 자제…日내부서도 '지역 모호' 등 지적"
![]() |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과 라지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 |
(도쿄=연합뉴스) 박상현 특파원 = 일본이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두고 한반도와 동중국해·남중국해 등을 하나의 '전쟁 구역'으로 통합해 대응하는 '원 시어터'(One Theater) 구상을 각국에 설파하고 있다고 아사히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원 시어터는 한국, 미국, 일본, 호주, 필리핀 등이 중국에 대항해 방위 협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으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도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하지만 한국이 한반도를 일본 전쟁 구상에 편입시키는 데 대해 우려를 나타내는 등 과제가 적지 않아 일본은 '원 시어터'라는 용어를 직접 언급하는 대신 구상에 담긴 핵심 내용을 각국과 공유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나카타니 겐 일본 방위상은 지난 5일 인도 뉴델리에서 만난 라지나트 싱 인도 국방부 장관에게 원 시어터 구상을 설명했다.
그는 귀국 직후 이시바 총리에게 회담 결과를 보고하는 자리에서 "인도양, 태평양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안보 환경을 하나로 인식해 협력해 나가자고 전했다"고 밝혔다.
나카타니 방위상은 이시바 총리와 면담에서 싱 장관에게 제시했다는 A3 용지 크기 지도를 펼쳐 보였다.
동서로는 중동부터 태평양까지, 남북으로는 중국부터 호주 주변까지 그려진 이 지도에는 중국의 대미 방어선인 '제1열도선'과 '제2열도선', 중국군 동향 등이 표시돼 있었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나카타니 방위상은 올해 2월 길버트 테오도로 필리핀 국방부 장관, 3월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과 회담 당시에도 이 지도를 사용해 원 시어터 구상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오는 30일부터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 안보회의(샹그릴라 대화)에서 할 강연에서도 원 시어터 구상 관련 내용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나카타니 방위상은 국회와 기자회견 등 공개 석상에서는 '원 시어터'라는 용어를 말하는 것을 자제하고 있다고 아사히는 짚었다.
이 신문은 이 용어가 한국을 비롯한 주변 국가를 지나치게 자극할 우려가 있다는 점이 주된 이유라고 설명했다. 방위성 간부는 "안보 협력을 강화하려는 구상인데 유사시를 연상시킨다"고 아사히에 말했다.
실제로 한국 정부는 "한반도가 일본의 전쟁 구역 구상에 들어가는 것은 문제"라는 우려를 외무성을 통해 일본 측에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에서는 원 시어터 구상이 실현될 경우 주한 미군이 중국의 대만 침공 시 투입될 수 있고 한반도 유사시 일본 자위대가 개입할 명분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바 있다.
아울러 아사히는 원 시어터가 지칭하는 지리적 범위가 명확하지 않고, 일본 정부 내에서 논의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도 나카타니 방위상이 용어 언급을 꺼리는 이유라고 분석했다.
이 신문은 "방위성 내에서도 (원 시어터 구상에) 인도가 포함되는지 여부 등에 대해 의견이 나뉘고 있다"며 '방위성 내부 용어'에 불과하다는 견해도 있어서 명칭을 변경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