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디지털데일리 언론사 이미지

중기부·창진원, '2025 초격차 프로젝트 글로벌 IR in 도쿄' 성황리 개막

디지털데일리 이상일 기자
원문보기

중기부·창진원, '2025 초격차 프로젝트 글로벌 IR in 도쿄' 성황리 개막

속보
추경안, 국회 예결소위 통과…野 퇴장 속 與 단독 처리
[디지털데일리 이상일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오영주, 이하 중기부)와 창업진흥원(원장 유종필, 이하 창진원)은 국내 초격차 스타트업의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2025 초격차 프로젝트 글로벌 IR in 도쿄' 행사를 25일 일본 도쿄 이노베이션 베이스(Tokyo Innovation Base)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중기부와 창진원이 추진 중인 '초격차 스타트업 1000+ 프로젝트'의 투자유치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마련되었으며, 일본 현지의 벤처 캐피털(CVC·VC) 및 대기업과의 전략적 연계를 통해 국내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의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과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기존의 단일 IR 데모데이 형식을 넘어, 일본 대기업과의 기술 매칭 기반 PoC 프로그램, 현지 투자자 리버스 피칭, 법률·IP 멘토링 등 초격차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을 위한 복합적인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이번 행사에는 최근 일본에서 투자 수요가 높고 기술적 주목을 크게 받고있는 AI, 로봇, 미래 모빌리티, 시스템반도체, 친환경‧에너지 등의 핵심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한 시리즈 A 이상의 초격차 스타트업 13개사가 참여했다.

행사에 앞서 약 두 달간 일본 시장에 대한 사전 이해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도 국내에서 진행되었다. 일본 진출 선배 창업기업과의 세미나, 일본 투자자 대상 1:1 IR 멘토링, 일본 대기업과의 사전 기술 밋업 등 다양한 사전 활동을 통해 참가 기업들의 현지 적응력과 기술 피칭 완성도를 제고했다.

행사 첫날인 25일 일본을 대표하는 10개 대기업(NTT DATA, PayPay, Rakuten, Panasonic, OKI 등)이 참여한 가운데, 기술 매칭 및 오픈 이노베이션 기반 PoC 프로그램이 집중적으로 운영되었다.


26일에는 국내 초격차 스타트업들이 일본 현지의 주요 VC 및 CVC를 대상으로 자사 기술과 사업모델을 직접 소개하는 IR 데모데이가 개최될 예정이다.

데모데이에 앞서 일본 CVC들이 자사의 투자 기조, 펀드 성격, 관심 기술분야 등을 소개하는 리버스 피칭 세션이 진행되며, 이후 초격차 스타트업 13개사의 IR 피칭과 질의응답 세션이 이어진다. 데모데이에는 세일즈포스 벤처스(Salesforce Ventures), 글로벌 브레인(Global Brain), 도시바테크, 500 Global, 신한벤처스 등 주요 투자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다.

또한 일본 딥테크 투자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전문가 패널토크가 예정되어 있다. 글로벌 제조업 밸류체인 내 일본 스타트업의 확장 가능성, 정부 주도 펀드 동향, 한국과 일본의 오픈이노베이션 연계 사례 등을 주제로 심도 깊은 논의가 진행될 예정이다.


행사 마지막 날인 6월 27일에는 법률, IP, 회계, 마케팅 등 분야별 전문가와의 1:1 멘토링 세션을 통해 일본 진출을 위한 실무 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특히 이번 멘토링은 초격차 스타트업들의 사전 수요를 반영하여 기획된 것으로, Go-to-Market 전략, IP 기반 Exit 시나리오, 현지 파트너십 체결 시 유의사항 등 일본 시장 진입의 실질적인 장벽을 해소하기 위한 자문이 이뤄질 예정이다.

이외에도 현지 VC 및 CVC와의 후속 밋업 및 크로스보더(Cross-border) 협업 논의를 통해 데모데이에서 발생한 네트워크를 구체적인 사업 기회로 연계하는 활동도 이어진다.

조경원 창업정책관은 “2025 초격차 프로젝트 글로벌 IR in 도쿄는 국내 유망 딥테크 스타트업이 일본이라는 거대 경제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구체화하고, 기술력 기반의 글로벌 밸류체인 진입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설계된 복합 IR 프로그램”이라며, “앞으로도 중기부는 일본을 포함한 주요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 스타트업들이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후속 지원과 글로벌 연계 프로그램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OSZA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