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로 건너뛰기
검색
조선일보 언론사 이미지

“우리 것 훔쳤다”… 프라다 신상 샌들에 뿔난 인도, 무슨 일?

조선일보 이혜진 기자
원문보기

“우리 것 훔쳤다”… 프라다 신상 샌들에 뿔난 인도, 무슨 일?

속보
코스피 장중 3,200 돌파…코스닥 800선 회복
지난달 27일 인도 뉴델리의 한 매장에서 시민들이 인도 전통 신발인 '콜라푸리' 샌들을 구매하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27일 인도 뉴델리의 한 매장에서 시민들이 인도 전통 신발인 '콜라푸리' 샌들을 구매하는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프라다가 2026년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서 선보인 T자 스트랩 샌들이 인도 전통 신발 ‘콜라푸리 차팔’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문화적 도용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달 30일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최근 인도 소셜미디어에는 지난달 초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프라다 패션쇼에서 선보인 T자 스트랩 샌들이 인도의 전통 수제 가죽 신발인 ‘콜라푸리 차팔(kolhapuri chappal)’과 흡사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콜라푸리 차팔은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 주 콜라푸르 지역에서 제작되는 수공예 가죽 신발로 납작한 밑창이 특징이며 수백만 명의 인도인이 신는 전통 신발이다. 콜라푸리 차팔을 만드는 인도 장인 프라바 사트푸테는 BBC에 “이 샌들은 콜라푸리 가죽 장인들의 고된 노동으로 만들어졌고, 콜라푸리 이름을 따서 명명해야 한다”며 “우리의 노동력을 부당하게 착취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현재 인도에서 콜라푸리 차팔은 최소 12달러에 판매되는 반면, 프라다의 남성용 가죽 샌들은 844달러부터 시작한다.

인도 마하라슈트라 상공회의소는 프라다 측에 항의 서한을 보냈다. 이에 프라다는 인도 마하라슈트라와 카르나타카 지역의 전통 신발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인정했다. 프라다 그룹은 성명을 내고 “인도 마하라슈트라와 카르나타카의 특정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인도 전통 신발에서 영감을 받은 샌들을 밀라노에서 열린 남성 2026 봄여름(S/S) 시즌 쇼에서 선보였다”며 “현지 인도 장인 사회와 의미 있는 교류를 위한 대화를 시작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라다 측은 현재 컬렉션이 디자인 개발 초기 단계이며 생산이나 상용화가 확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지난달 2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프라다 2026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서 모델이 샌들을 착용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지난달 22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프라다 2026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서 모델이 샌들을 착용하고 있다. /로이터 연합뉴스


인도 정부는 2019년 콜라푸리 차팔을 지리적 표시(GI) 적용 대상으로 지정했다. 지리적 표시는 상품에 특정 지리적 원산지가 존재하고, 그 원산지에서 상품의 품질과 특성이 비롯되는 경우에 붙는 표시를 말한다. 지식재산권 변호사 수방 나이르는 콜라푸리 차팔이 GI로 보호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 다른 지식재산권 변호사 프리얌 리즈마리 체리안은 프라다가 처음부터 콜라푸리 차팔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밝히지 않은 것이 윤리적 문제를 야기했다고 지적했다.

인도 패션계에서는 이번 논란을 바라보는 시각이 엇갈린다. 패션 칼럼니스트 카니카 갈라우트는 프라다의 상업적 이익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디자이너 라가벤드라 라토레는 인도 문화가 세계 무대에 진출한 것을 축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라토레는 “한 켤레에 1000~3000루피(20~30달러)인 콜라푸리 샌들이 국제 무대에 등장한 것은 오히려 긍정적”이라며 “이번 논란으로 전통 수공예 샌들에 대한 세계적 인지도가 높아졌고 판매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선일보 국제부가 픽한 글로벌 이슈!

뉴스레터 구독하기

[이혜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OSZAR »